정보시스템감리사/기출문제_20년_21회

53_트랜잭션관리

론리나잇 2025. 4. 21. 23:59

 

📘 53.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 관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분석

①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는 일의 단위로서 원자성(atomicity)을 유지하기 위해서 commit 하거나 rollback 할 수 있다.

  • ✔️ 트랜잭션의 기본 속성 중 Atomicity(원자성) 에 대한 설명.
  • ✔️ commit 또는 rollback을 통해 작업 단위를 완결하거나 철회할 수 있음.
  • 올바른 설명

②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충돌 트랜잭션들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직렬 스케줄(serial schedule)을 생성해야 한다.

  • ❌ 트랜잭션 간 일관성을 보장하려면 직렬 스케줄(serial schedule) 이 아닌, 직렬 가능 스케줄(Serializable schedule) 이면 충분함.
  •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 기법으로 직렬성과 동등한 결과를 보장하면 됨.
  • 부정확한 설명 → 정답

③ 회복기법으로 그림자 페이징(Shadow Paging) 기법을 사용하면 단일 사용자 환경에서 로그 레코드 출력이 필요 없어 트랜잭션의 UNDO가 간단하고 REDO가 필요 없기 때문에 고장으로부터의 회복이 신속하다.

  • 🔸 그림자 페이징은 로그 기록이 없고, UNDO/REDO 모두 필요 없음.
  • ❌ 그런데 “UNDO가 간단하다”는 표현은 부정확함.
    • 정확하게는: UNDO 자체가 필요 없다
  • ⚠️ 표현상 오류는 있지만, 보통 시험에서는 더 명확한 오류가 있는 ②번이 정답 처리됨.
  • ⚠️ 부분적으로 틀릴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적절한 설명

④ 로깅(logging) 회복기법에서는 데이터 레코드보다 로그 레코드를 먼저 안전 저장장치에 기록하도록 한다.

  • ✔️ Write-Ahead Logging(WAL) 기법의 설명.
  • ✔️ 로그를 먼저 기록해야 장애 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
  • 올바른 설명

📝 결론

  • 가장 명확하게 틀린 설명은 ②번
  • ③번도 표현이 부정확하나, 일반적으로 ②번을 정답으로 처리

'정보시스템감리사 > 기출문제_20년_21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_정규화형_BCNF  (0) 2025.04.22
60_조인선택도  (0) 2025.04.22
51_릴레이션_차수  (0) 2025.04.21
50_형상감사  (0) 2025.04.21
45_MDA설명  (0)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