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해싱 2

동적해싱기법

📘 동적 해싱 (Dynamic Hashing) 이란?동적 해싱(Dynamic Hashing)은 해시 테이블의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법으로, 데이터가 점점 많아질 때 버킷 분할을 통해 공간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인 고정 해싱(Static Hashing)은 레코드 수 증가에 유연하지 않아 성능 저하 문제가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식입니다.🧱 핵심 구성 요소구성 요소설명디렉토리(Directory)메인 메모리에 위치하며, 해시 값에 따라 버킷을 참조하는 인덱스 역할을 수행버킷(Bucket)디스크에 저장되며, 실제 데이터를 담는 공간. 하나의 버킷에는 여러 개의 레코드가 저장됨해시 함수(Hash Function)키 값으로부터 해시 값을 생성하여, 디렉토리에서 ..

72_동적해싱기법

📌 문제 72확장성 직접 화일에서 동적 해싱(Dynamic Hashing) 기법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분석번호보기 내용적절성설명①버킷 분할이 일어날 때, 기존 버킷에 저장할지 새로 할당된 버킷에 저장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버킷에 있는 다른 레코드들에 의존해야 한다.❌ 부적절동적 해싱은 해시 함수 결과(비트수 증가)에 따라 레코드를 분배하므로, 다른 레코드에 의존하지 않음.②각 버킷은 메인 메모리에 거주하는 인덱스로 지시되기 때문에 물리적 버킷 주소는 실제로 그리 중요하지 않다.✅ 적절인덱스(디렉토리)는 메모리에 있으며, 물리적 주소보다 논리적 포인터가 중요함.③버킷 분할이 계속해서 일어나면 인덱스는 N개의 이진 트리 집합으로 된 포리스트(forest)가 된다.✅ 적절디렉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