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사/기출문제_20년_21회

51_릴레이션_차수

론리나잇 2025. 4. 21. 23:56

 

 

51. 릴레이션 R의 차수(degree)가 rd이고 릴레이션 S의 차수가 sd라고 가정했을 때,

다음의 관계 대수 연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1. rd = sd인 경우, R과 S는 합병 가능(union-compatible)하다.
  2. R에 실렉션(selection) 연산을 적용한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rd이다.
  3. R과 S를 세타 조인(theta-join)한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rd + sd이다.
  4. R을 구성하고 있는 속성 집합 X가 S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 집합 Y를 포함하고 있고
    X - Y = D라면 R ÷ S 연산을 적용한 결과 릴레이션의 차수는 D에 포함된 속성의 개수이다.

정답: ①번 ❌

📌 해설:

  • ①번: 부적절
    • 합병(union) 가능하려면 두 릴레이션은
      1) 속성 수(rd = sd)가 같고
      2) 각 속성의 도메인(domain)도 같아야 함
    • 보기에서는 도메인이 같은지 언급 없음 → 부적절한 설명
  • ②번: 적절
    • Selection은 조건에 맞는 튜플만 필터링 → 차수(속성 수)는 변하지 않음
  • ③번: 적절
    • Theta-join은 조건에 따라 단순히 두 튜플을 연결하는 연산 → rd + sd가 맞음
  • ④번: 적절
    • Division 연산의 결과는 R에서 S의 속성을 제거한 나머지 속성(D)에 해당 → 차수는 D의 속성 개수

'정보시스템감리사 > 기출문제_20년_21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_조인선택도  (0) 2025.04.22
53_트랜잭션관리  (0) 2025.04.21
50_형상감사  (0) 2025.04.21
45_MDA설명  (0) 2025.04.21
44_소프트웨어_유지보수_품질특성  (0)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