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통제 범위의 원칙
- "한 사람이 적정 숫자의 부하를 관리하도록 한다"는 설명은 **통제 범위(span of control)**의 원칙에 해당합니다.
- 일반적으로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부하 직원의 수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 정답
✅ 나. 직무 충실화 (Job Enrichment)
- 직무의 폭과 깊이를 넓고 깊게 해주는 것은 직무 충실화의 핵심입니다.
- 단순한 반복작업에서 벗어나 도전과 책임감을 부여하여 직무 만족도와 동기 부여를 높이려는 기법입니다. → 정답
❌ 다. 강한 매트릭스 조직
- 강한 매트릭스 조직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의 권한이 매우 큽니다.
- 설명에서는 “조정자 또는 촉진자의 역할”이라고 했는데, 이는 약한 매트릭스 조직에 해당하는 설명입니다. → 오답
❌ 라. 가상 조직
- 가상 조직은 인터넷 기반 협업과 유연한 전문가 풀 활용이라는 설명은 맞지만,
- "각 기능 간에 인적, 기술적 학습 조직"이라는 표현은 학습 조직에 가까운 개념이며, 가상 조직의 정의로는 다소 부적절합니다. → 오답
✅ 따라서 가장 적절한 조합은
① 가, 나입니다.
✅ 직무 설계 관련 개념 비교표
구분 | 설명 | 주요 특징 | 예시 |
---|---|---|---|
직무 단순화 (Job Simplification) | 직무를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으로 분할 | 업무 숙련도 향상, 생산성 증대, 하지만 직무 만족도 저하 우려 | 공장 조립라인에서 반복 작업 |
직무 확대 (Job Enlargement) | 직무의 수평적 확장. 다양한 업무를 병렬적으로 수행 | 단순 반복 업무에 다양성 부여, 책임 수준은 동일 | 제조공정에서 A작업 + B작업을 같이 수행 |
직무 충실화 (Job Enrichment) | 직무의 수직적 확장. 책임, 자율성 부여 | 도전, 성취감 ↑, 내재적 동기 부여↑ | 스스로 업무계획 수립, 의사결정 포함 |
직무 순환 (Job Rotation) | 일정 기간마다 다른 업무로 이동 | 다양한 업무 경험, 직무 피로 감소, 다기능 인재 양성 | 마케팅 → 생산 → 인사 순환 |
직무 특성 모델 (Job Characteristics Model) | 직무가 가져야 할 5가지 핵심 특성 제시 | 핵심: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 고자율적 팀 구성, 피드백 제공 체계 구축 |
'정보시스템감리사 > 기출문제_20년_21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_고진토차트 (0) | 2025.04.21 |
---|---|
23_재무분석_현가법 (0) | 2025.04.21 |
17_PMBOK_범위관리 (0) | 2025.04.21 |
6_보안준수항목 (0) | 2025.04.21 |
5_국가정보화기본원칙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