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해설: 응답시간(Response Time)의 유형
❓ 문제 요약
일반적인 응답시간은 요청(request) 후 응답(response)을 받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측정 위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뉩니다.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응답시간 유형은?
- 사용자 요청이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에서 전송된 후, 다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
- HTTP나 TP 모니터 테스트 시 LoadRunner에서 측정
- DNS Lookup, 서버 응답시간, 업/다운로드 시간 포함
📊 보기 분석
번호 |
응답시간 유형 |
설명 |
적절성 |
① |
클라이언트 응답시간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응답까지 전체 시간 (DNS, 서버처리 포함) |
❌ |
② |
네트워크 응답시간 |
클라이언트 ↔ 서버 간 네트워크를 통한 왕복 시간 |
✅ 정답 |
③ |
서버 응답시간 |
서버 내부의 요청 처리 시간 |
❌ |
④ |
연계 응답시간 |
시스템 간 연동(인터페이스) 호출~응답 시간 |
❌ |
✅ 정답
② 네트워크 응답시간
🧠 참고 정리
유형 |
설명 |
클라이언트 응답시간 |
클라이언트 기준 전체 요청~응답 시간 (DNS lookup, 네트워크, 서버 처리 포함) |
네트워크 응답시간 |
네트워크 전송에만 걸리는 왕복 시간 |
서버 응답시간 |
서버 내부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 |
연계 응답시간 |
시스템 간 API 연계 시 걸리는 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