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사/기출문제_21년_22회

4_자원평준화_감리.사업관리

론리나잇 2025. 4. 16. 20:53

이 문제는 자원 평준화(Resource Leveling) 기법을 적용하여 자원의 사용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한 최적의 선택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 문제 요약

  • 활동들은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시점에 시작한다고 가정됨.
  • 자원은 각 활동마다 필요한 작업자 수(workers)가 주어져 있음.
  • 목표는 자원 사용을 고르게 하는 것 (Resource Leveling).

✅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분석

ⓐ 활동 정보

  • a 활동: 1→2 (기간 2일, 자원 3명)
  • b 활동: 1→3 (기간 3일, 자원 3명)
  • c 활동: 2→4 (기간 5일, 자원 6명)
※ 점선은 더미 활동(dummy), 자원이나 기간 없음.
 

✅ 자원 평준화(Resource Leveling) 접근

자원 평준화는 전체 작업 기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원의 사용량의 변동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를 위해 float(여유 시간)이 있는 활동의 시작 시점을 조정하여 자원 수요를 고르게 만듭니다.

🔍 가능한 작업 계획 비교

우선 모든 작업을 가능한 빨리 시작하면 자원 사용이 아래처럼 됩니다.

원래 스케줄 (가장 빠른 시작):

일a (3명)b (3명)총 자원

1
6명
2
6명
3
 
3명
자원이 6명→6명→3명으로 변동이 있음 → 비효율

🧠 각 선택지 분석

a 활동을 4일 늦게 시작
  • 가능하긴 하지만, 프로젝트 종료일이 밀릴 위험이 있음
  • 더미 활동 2→4를 지나야 하므로 전체 일정 지연될 가능성 있음
    → 비효율
b 활동을 2일 늦게 시작
  • b는 float가 있어 가능
  • 자원 사용:
    일a (3명)b (3명)총 자원1✔3명2✔3명3✔3명4✔3명5✔3명
  • 자원 사용이 3명으로 일정 → 평준화 좋음 ✅
    가장 이상적인 자원 평준화
c 활동을 1일 늦게 시작
  • c는 2→4, 더미활동을 거치므로 여유가 거의 없음
    → 전체 일정 지연 우려 있음
a와 b를 1일씩 늦춤
  • 일부 효과는 있으나 b만 늦췄을 때보다 더 복잡함
    → 단순하지 않고 효과도 덜함

✅ 정답

👉 ② b 활동을 2일 늦게 시작한다.
이는 float가 있는 작업을 활용해서 자원 사용량을 일정하게 만들고, 프로젝트 완료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자원을 고르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