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는 모듈 응집도(Cohesion)의 수준을 설명하고, 이를 좋은 응집도에서 나쁜 응집도 순으로 배열하는 것입니다. 응집도는 소프트웨어 모듈 내 기능들이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높을수록 좋은 설계입니다.
각 보기 해석 및 응집도 수준 분석:
마. 하나의 문제를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한 함수이다.
- ✅ 기능적 응집 (Functional Cohesion) – 가장 높은 수준의 응집도
- 하나의 명확한 목적을 수행하는 모듈로, 가장 이상적인 형태
라. 두 개의 기능을 구현한 함수로 하나의 기능의 결과가 다른 기능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 ✅ 순차적 응집 (Sequential Cohesion) – 비교적 높은 수준
- 기능들 간의 데이터 흐름이 존재함
나. 두 개의 기능을 구현한 함수로 동일한 속성(attribute)을 사용하는 기능을 묶어 놓았다.
- ✅ 통신적 응집 (Communicational Cohesion) – 중간 수준
- 공통 데이터를 사용하긴 하지만, 기능 목적이 다름
다. 초기화 함수와 같이 시간적으로 연관이 있는 기능들을 묶어 놓았다.
- ✅ 시간적 응집 (Temporal Cohesion) – 낮은 수준
- 실행 시점이 비슷하다는 이유만으로 묶은 경우
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 기능들을 묶어 놓았다.
- ✅ 우연적 응집 (Coincidental Cohesion) – 가장 낮은 수준
- 모듈 내 기능들이 전혀 관련 없음
정답 도출:
좋은 응집도 → 나쁜 응집도 순으로 나열하면:
마 (기능적) > 라 (순차적) > 나 (통신적) > 다 (시간적) > 가 (우연적)
정답은 ① 마 - 라 - 나 - 다 - 가
✅ 정답: ①번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정보시스템감리사 > 기출문제_21년_2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_익스트림프로그래밍_이해 (0) | 2025.04.17 |
---|---|
37_요구사항 도출 기법 (1) | 2025.04.17 |
32_Java_컴파일오류 (1) | 2025.04.17 |
25_정보시스템감리원 윤리 가이드 (0) | 2025.04.16 |
23_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2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