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사/기출문제_21년_22회

117_패스워드기반암호(PBE)

론리나잇 2025. 4. 21. 00:22

선택지 분석

PBE는 Java의 java.crypto 패키지에 내장되어 있으며, PGP에서 키를 관리할 때도 사용되고 있다.
맞는 설명입니다. Java에서 javax.crypto 패키지를 통해 PBE를 지원하며, PGP에서는 키 암호화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키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하는 키(KEK: Key Encryption Key)와 메시지를 암호화하는데 사용하는 키(CEK: Contents Encryption Key)가 필요하다.
맞는 설명입니다.
PBE에서는 일반적으로 비밀번호에서 KEK를 파생시키고, 이 KEK로 실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CEK를 보호합니다.

KEK를 생성하는데 솔트(salt) 값을 이용하면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을 방지할 수 있다.
❌틀린 설명입니다. (정답)
솔트(salt)의 주 목적은 사전 공격, 무차별 대입 공격, rainbow table 공격 방지이지, MITM(중간자 공격) 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KEK를 생성하기 위해 패스워드와 의사난수 생성기로 만들어진 솔트(salt)를 입력으로 사용한다.
맞는 설명입니다.
PBE에서는 보통 패스워드와 솔트를 함께 넣어 KEK를 파생시키며, 이는 보안 강화를 위한 일반적인 절차입니다.


✅ 정답:

솔트는 중간자 공격(MITM) 방지를 위한 요소가 아니며, 이 설명은 부정확합니다.

MITM 방지는 보통 SSL/TLS 같은 통신 암호화 프로토콜이나 인증 메커니즘으로 해결합니다.

'정보시스템감리사 > 기출문제_21년_2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_C코드분석  (0) 2025.04.21
115_프록시서버  (0) 2025.04.21
114_비식별화방법  (0) 2025.04.21
113_XSS_공격유형  (0) 2025.04.21
106_SHA-3_해시함수  (0)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