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사/토픽모음

디지털_아날로그_변환기법

론리나잇 2025. 4. 22. 12:48

🔁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 기법 정리


🎯 1. 디지털 → 아날로그 변환 (Digital to Analog)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과정
디지털 변조(Digital Modulation) 라고도 함

🧪 주요 기법

방식 이름 특징
ASK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을 바꿔 디지털 데이터 표현
FSK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를 바꿔 디지털 데이터 표현
PSK Phase Shift Keying 위상을 바꿔 디지털 데이터 표현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진폭 + 위상 동시 조절 (고속 통신)

🎯 2.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 (Analog to Digital)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0과 1의 이산적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
A/D 변환 (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 변환 단계

  1. Sampling (표본화)

    • 연속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
    • 샘플링 주파수 ≥ 2 × 최대 주파수 (나이퀴스트 이론)
  2. Quantization (양자화)

    • 샘플 값을 이산적인 크기로 근사화
  3. Encoding (부호화)

    • 양자화된 값을 이진수로 변환

🧪 주요 기법

방식 이름 특징
PCM Pulse Code Modulation 기본 A/D 변환 방식 (표본화→양자화→부호화)
DPCM Differential PCM 이전 샘플과의 차이만 전송
ADPCM Adaptive DPCM 양자화 폭을 동적으로 조절
DM Delta Modulation 증감(±1) 신호만 전송
Σ-Δ Sigma-Delta Modulation 고속 오버샘플링 → 평균화 (고정밀도)

📌 비교 요약

방향 목적 대표 방식 특징
디지털 → 아날로그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송 신호로 변조 ASK, FSK, PSK, QAM 통신에 사용
아날로그 → 디지털 아날로그 데이터를 이진 신호로 샘플링 PCM, DM, ADPCM 등 저장·디지털 처리

'정보시스템감리사 > 토픽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_통신기술  (0) 2025.04.22
TensorFlow_vs_PyTorch  (1) 2025.04.22
압축기법_손실_무손실  (0) 2025.04.22
동적해싱기법  (0) 2025.04.22
ISO27000(ISMS) 시리즈  (1) 2025.04.21